51. 미국산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
oreo
0
2
04.16 02:21
51. 미국산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
51. 미국산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유럽, 일본, 한국에서 바로 수출하는 자동차 회사들이 반사이익을 보게 된 것임.예상했던 것과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시장에서는 생각보다 약한 수준의 관세가 발표될 수도 있다는 예상도 있다.현대차도 크게 나쁘지 않아 보인다.45. 1기 트럼프 때 멕시코와 자유무역협정( NAFTA) 재협상을 통해서 트럼프는 두 가지를 얻어냄.54. USMCA를 개정하며, 북미산 부품 사용 비율을 75%로 높였고, 캐나다의 농업시장 개방을 확대해서 미국의 농산물 수출을 확대함.한줄 코멘트. 예상한 수준의 결과가 나왔다. 보편관세와 상호관세의 하이브리드 관세로 결정되었다. 이제 국가는 협상의 시간이고, 투자자는 개별 분석의 시간이 시작되었다.44. 운송비가 좀 더 든다고 해도, 인건비 차이가 많이 나니, 멕시코에서 만들어서 미국에 납품하는 게 훨씬 싸게 먹혔음.트럼프는 이번주 일주일(~4월9일)간 각국과 개별협상을 통해서 관세를 조정하겠다는 태도다.한 줄 코멘트. 보통 시장에 좋은 내용이라면 장중에 발표하는 게 보통이다. 정규장이 끝나고 안 좋은 공시를 날리는 것은 어디서 많이 보던 수법이다.43. 자동차 산업의 시간당 평균임금이 미국은 22달러지만, 멕시코의 경우 3.5달러라 인건비 차이가 엄청났기 때문임.49. 트럼프의 의도대로 NAFTA가 개정됨.트럼프가 관세를 발표하는 정확한 시간은, 행사 순서를 보면 한국시간으로 오전 5시 40분 전후로 보인다.트럼프가 어떤 관세를 발표할 것인지에 대해서 여러 가지 썰들이 난무하고 있다.세계는 발표후 가장 먼저 열리는 국장을 주시할듯하다.트럼프, 관세 발표일이 다가왔다. 어떤 발표가.. : 네이버블로그이번 관세부과에서 보편관세는 고정이지만, 추가관세를 국가별 협상여지를 열어놓은 것은 문제다.하지만, 행사 일정을 감안한 발표 시간을 보면 약한 관세가 아닐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한국은 이 부분에 약점을 가지고 있다.평균 25%정도를 붙인것 같다.© HeyJUNE, 출처 OGQ39. 제조업의 왕은 자동차 산업임.EU,일본차와는 동일 상황에서 경쟁하게 되었고, 미국 자동차만이 경쟁대상이 되었다.멕시코에서 생산된 자동차를 미국으로 운반하는 트럭행사는 한국시간 오전 5시, 미국시간 오후 4시에 시작된다.관세 발표가 나기전에 다음과 같이 예상을 했다.37. 트럼프는 미국 제조업을 살리는게 핵심 전략임. 기억나면 나무색글은 스킵해도 된다.타겟은 중국으로 보인다.오후 4시는 미국 정규장이 끝나는 시간이다.이유를 알려면 기존글에서 설명한 아래 USMCA협정을 읽어봐야한다. (아래 나무색 37~56번글).40. 자동차 산업은 수많은 부품들이 필요해서, 부품을 납품하는 수많은 2차, 3차 협력사들이 엄청난 일자리를 만드는 산업임.이것은 이번관세와 무관하다고 했으니, 중국은 54%가 될듯하다.전체적으로는, 수출 경쟁국들과 상대비교를 해볼 필요가 있다.현재 미국 자동차들은 멕시코에서 무관세로 많은 부품을 들여오고 있다.한국과 주요경쟁국을 비교하면, 베트남 46%, 중국 34%, 대만 32%, 인도네시아 32%, 인도 26%, 한국 25%, 일본 24%정도다.정규 미장이 끝난 뒤에 발표하는 것은 증시 폭락으로 행사 분위기를 해칠 것을 걱정하는 것일 수 있다.트럼프는 이미 2월 3일에 중국에 10% 추가관세를 붙였고, 3월 4일에 10%를 추가했다.38. 1기 트럼프 시절, 트럼프가 진행한 것은 미국과 멕시코 자유무역협정(NAFTA)을 개정한 것임.한국에 25% 관세가 이미 붙었으니, 자동차에 추가관세는 없다.56. 2기 트럼프에서도 비슷한 개정을 요구할 것 같음.[AFP 연합뉴스 자료사진]멕시코와 캐나다가 승자다.USMCA가 체결된 멕시코에서 무관세로 부품을 들여올 수 있는 미국 자동차들에게 이번 관세는 상대적인 경쟁력을 줄수도 있다.48. 트럼프가 원하는 것은 미국 노동자를 더 쓰기 위해 멕시코 국경에 몰려있는 부품사들을 미국으로 옮기는 것이었음.42. 미국과 붙어있는 멕시코 국경지역에서 저임금으로 부품을 제조하고 조립만 미국에서 하고 있었던 것임.47. 미국 노동자를 더 쓰라는 말임.크게 무리가 없다.그런데, 이번 조치는 누적되지는 않는다.46. 멕시코에서 만든 자동차를 미국에 수출하려면, 부품의 45% 이상을 시간당 16달러 이상 노동자가 만들어야 한다는 규정을 추가함.© CoolPubilcDomains, 출처 OGQ일단 20% 정도를 일괄로 때린 후, 국가별로 협상해서 깎아주거나 할증시키는 방법이 트럼프 스타일에는 맞아 보인다.© Violetta Deepova, 출처 OGQ52. 1기 때 트럼프가 외국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붙여, 외국에서 들어오는 자동차 회사들의 반사이익을 없애려고 한 이유임.53. 트럼프는 1기 때 NAFTA를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로 대체함.예상했던 시간에 발표가 나왔다.41. 미국과 멕시코가 무관세인 것을 멕시코와 기업들은 활용을 함.
51. 미국산 자동차의 가격 경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