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 이제 다 썼으니까 고민 좀
oreo
0
4
04.17 04:32
포스팅 이제 다 썼으니까 고민 좀 해봐야겠군나의 운은 기라티나 나왔을때 다 썼나보다.휴...일단 1개는 먹고 간다 했으니 먹으면서 더 생각해봤다.작년엔 별 관심이 없었어서 비교를 못하겠네...거침없이 뜯어줬다.1개를 어차피 포장해 갈껀데...1개를 더 포장할까?그래서 두 번째로 가까운 매장으로 선택해서 봤다.근데 ‘몇개 안 남았다’라는 이 멘트가 정말 폭력적인것이다.배달주문 나가기전에 내가 잘 찾아왔다.사람은 없었는데 겁나 바빠보이셨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38개의 단체주문을 소화하고 계신거였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사장님은 30개 정도 남았다 했고 앱으로도 미리 포장 주문할수 있다고도 안내해주셨다.두둥!시크릿 3종 중 1개가 처음 구매하자마자 당첨되다니!이 뱃지 3개를 이제 어떻게 보관을 할까 좀 고민했다.1차엔 낮 벚꽃이 테마, 2차는 밤 벚꽃이 테마다.내가 가장 자주 이용하는 곳은 벌써 하루만에 뱃지가 다 나간 모양이다.레몬인가? 그것도 먹어보고 싶었는데 혼자 2잔 마셔도 되나 ? 싶어서 걍 하나만 마셨다.ㅎㄷㄷㄷ 2명?이서 38개라니...2차 뱃지의 재고가 아직 있었다.올 봄에 다시 돌아왔다. 세번째 라고 한다.여기서 나의 욕심은 사라졌다 ㅋㅋㅋㅋ뜨거워서 한참을 먹었다.(마음의 소리)또 체리코가 나왔다. (어이없어서 흔들린 사진ㅋㅋㅋ)일단 일주일 간격으로 1차, 2차 출시를 했다.버스까지 타고 가야하는 거리였는데 타고 가면서 포장 주문으로 2세트 주문했다.이삭토스트 앱그리고 나도 바로 깠다.대화 내용을 들어보니 포켓몬 뱃지 재고 문의였다.이 포켓몬 이벤트 준비를 위한것으로 생각되는...아 근데 딱 3개 샀는데 그중 1개 중복이라니... 그 많은것들중에그때 마침 매장으로 전화가 한통 걸려왔다.이왕 와서 산김에 1개만 더 사가자.작년에는 너무 뒤늦게 알아서 구매를 못했는데이 뱃지 1개 더 갖는다고 뭐가 드라마틱한게 기쁜것도 아닐테고...이번 포켓몬 뱃지를 위해선 이삭토스트 앱을 꼭 받는게 좋다.그리고 시크릿 뱃지가 3종이나 있다.출처: 이삭토스트 공식 홈페이지 - 클릭 시 이동기라티나 / 체리꼬 당첨!오늘이 마지막일텐데? (내년 따윈 생각 안함, 안 할수도 있자너...)각 매장에 전 메뉴의 재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민복 히즈빈스 이사는 “히즈빈스는 장애인 바리스타를 양성하고 고용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일하는 문화를 만들어가는 사회적 기업”이라고 말했다. 행복나래 제공 “장애인 일터는 비장애인 일터와 구별돼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애인 고용을 넘어, 장애인과 비장애인 구분 없이 함께 일하는 세상을 꿈꿉니다.” 15일 서울 중구에 있는 카페 히즈빈스(HIS BEANS) 명동점에서 만난 이민복 히즈빈스 이사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꾸기 위해선 장애인과 비장애인 일터 사이의 문턱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장애인 자립을 위한 고용 모델을 제시하는 사회적 기업 ‘향기 내는 사람들’의 카페 브랜드 ‘히즈빈스’는 장애인에게 바리스타 교육을 한 뒤 직접 고용한다. 또 여러 기업에 장애인 고용 사내 카페 운영 모델에 대한 컨설팅 등을 진행한다. ● 정신장애인 바리스타 양성·고용 지원히즈빈스 1호점은 2009년 문을 연 경북 포항 한동대점이다. 16년 만에 히즈빈스 국내외 매장은 36곳으로 늘었다. 이들 매장에서 근무하는 장애인 바리스타는 165명에 이른다. 정신장애인은 약 70%, 발달장애인은 30% 정도다. 이 이사는 “정신장애는 사회적 인식이 부정적이다 보니 동료로서 같이 일하기에 어렵거나 위험하다고 인식돼 취업하기 가장 어려운 장애 유형”이라며 “이들이 사회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꾸준한 정서적 지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히즈빈스는 매장에서 직원이 처음 근무하기 전 약 2주간 ‘히즈빈스 가치교육’을 진행한다. 먼저 근무를 시작한 장애인 바리스타가 후배 바리스타에게 동기 부여 교육을 한다. 일을 하고자 하는 의욕과 용기를 북돋아 주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근무 시작 후에는 ‘다각적 지지 시스템’을 통해 장애인 바리스타가 지속해서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비장애인 매니저 1명이 장애인 바리스타 3, 4명을 담당해 매일 복약 지도 및 상담 지도를 진행하고 건강 상태를 점검한다.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과 감정 조절 훈련 등도 진행한다. 동료와 갈등이 있을 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화해하는 법, 응대할 때 고객의 눈을 쳐다보고 대화하는 법 등을 교육한다.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장애인 바리스타가 함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