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서울=뉴스1)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 얼마 전 태국에서의 일정을 마치고 라오스의 유서 깊은 도시 루앙프라방을 일행과 함께 방문했을 때의 일이다. 여럿이 움직이다 보니 라오스 말이 유창한 분에게 일행의 경비 관리를 부탁했다. 저마다 환전을 하고 그때그때 결제를 하는 것보다 단체로 하는 편이 덜 번거로울 줄만 알았던 터다. 하지만 예상은 빗나갔다. 현지의 화폐와 물가가 생소한 탓에 넉넉하게 환전을 했다 싶었지만 이렇다 한 것도 없이 이내 돈이 떨어져 환전소를 들락거리기 일쑤였다. 게다가 일행의 경비를 관리하기엔 지갑으로 감당이 되지 않아 지폐 뭉치를 넣을 돈가방이 필요할 정도였다. 이는 메콩강을 국경으로 한 태국과 라오스의 화폐 상황이 준 일종의 '환율 멀미'였다.라오스의 화폐는 킵(Kip)인데, 1000킵은 우리 돈 67원쯤 된다. 외국인 관광객이 몰려드는 루앙프라방의 상대적으로 낮지 않은 물가로는 1만킵(약 670원)으로 살만한 것을 찾기가 쉽지 않다. 라오스에서는 동전은 쓰이지 않고 최저액권 500킵(약 34원)부터 2010년에 생겨난 최고액권 10만킵(약 6700원)까지 지폐로만 8종류나 통용이 된다. 반면 태국 돈 1밧은 우리 돈 40원쯤이다. 태국 밧과 라오스 킵의 교환 비율이 얼추 1 대 600에 달한다. 이방인이 겪는 밧과 킵의 '환차'는 지구 반대편에서 겪는 '시차' 못지않게 크다.화폐의 액면가, 지폐에 쓰인 숫자로 '10000'을 놓고 보자. 태국 돈 1만밧은 대략 원화 40만원에 상응한다. 그런데 이 숫자가 메콩강을 건너 라오스로 가서 라오스 화폐 킵이 되면, 1만킵은 670원으로 쪼그라든다. 똑같은 숫자가 어느 나라, 어떤 화폐에 쓰이느냐에 따라 40만원과 670원이라는 엄청난 차이로 둔갑하게 된다. 환율과 화폐 시스템의 차이로 인해 동남아에서 국경을 넘나들다가는 이처럼 익숙해지지 않는 혼란을 겪게 마련이다. 게다가 1000원짜리 물품을 구입하려 1만킵 지폐를 꺼낼 때, 우리는 마치 만원을 쓴다는 착각에 움찔하기 십상이다. 환차에 익숙해진다 해도 문제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조금 과장하자면, 라오스에서 고액권만 들고 시장에 나섰다가는 장바구니보다 거스름돈을 담을 돈가방을 마련해야 할지도 모른다.화폐의 높은 액면가 야외활동 전후로 종아리 스트레칭 및 전신 스트레칭을 통해 아킬레스건 부상을 방지하는 게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봄기운이 완연해진 요즘, 야외 활동이 부쩍 늘어난다. 오랜만에 야외에 나왔다면 예기치 못한 부상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그중 드물지 않게 발생하는 것이 아킬레스건(힘줄) 파열이다. 아킬레스건은 걷거나 뛸 때 걸음에 반동을 만들어 주는 구조물로 우리 몸에서 가장 굵고 튼튼한 힘줄이다. 아킬레스건은 걷거나 뛸 때 몸을 지면에서 들어 올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걸을 때마다 가해지는 하중이 크고 자주 일을 해야 하는 힘줄이지만 역할에 비해 혈액순환이 취약해 파열이 발생하기 쉽다. 갑작스러운 가속과 감속이 필요한 운동 혹은 점프가 필요한 운동 중 종아리 근육의 순간적인 수축력에 의해 갑자기 ‘뚝’ 하는 느낌과 함께 통증을 동반한 파열이 생기는 경우가 흔하다. 이외에 만성적 퇴행성 변화나 발꿈치 뒤쪽 통증을 가지고 있다가 파열되는 경우도 있다. 상계백병원 족부족관절센터 배서영 교수는 “아킬레스건 파열을 예방하려면 운동 전후에 적절한 종아리 스트레칭은 물론 몸 전체 유연성과 순발력이 떨어지면 갑작스러운 하중을 아킬레스건이 감당해야 하는 순간이 생기기 쉬우므로 전신 준비운동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서영 교수는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계절이나 일교차가 큰 날씨에는 경직된 몸이 적응되기 전에 운동 강도를 갑자기 높이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아킬레스건 만성 건염은 파열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퇴행성 변화가 항상 통증을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변화가 있는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선천적으로 아킬레스건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는 운동 전후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스트레칭을 습관화해야 하고 당기거나 통증 혹은 힘줄이 두꺼워지는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는 활동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어 정형외과 진료를 받는 게 좋다.배서영 교수는 “아킬레스건은 한번 손상되면 수술이 필요하기도 하고 회복 과정이 긴 편이다”라며 “손상 후 운동을 재개하기까지 6개월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따스한 봄에 등산을 비롯한 야외활동을 할 때는 전후로 꼭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