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스크]◀ 앵커 ▶어제 파면 일주일 만에 관저를 나와 서초동 집으로 간 윤 전 대통령은 마치 금의환향한 것처럼 꽃다발을 받고 지지자들과 포옹을 했죠.심지어 "다 이기고 돌아왔다"는 도무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궤변을 늘어놓기도 했는데요.반성이나 사과는 없이 "나라를 위해 새로운 길을 찾겠다"며 막후 정치를 이어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김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관저에서 퇴거하던 윤석열 전 대통령은 대학교 점퍼를 맞춰 입고 일렬로 서있는 학생들에게 가장 먼저 다가갔습니다. "윤석열! 윤석열!"하지만, 1시간 반 전쯤, 지지자들의 입에서 뜻밖의 말이 나왔습니다. [김준희/'자유대학' 대표 (어제)] "대통령실 쪽에서 저희 와달라 이렇게 해 주신 것 같아요. 그래서 감사하게도 앞쪽에 배치할 수 있도록 되었습니다."청년 세대가 윤 전 대통령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모습처럼 보이도록 사전 기획한 걸로 의심되는 정황이 포착된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 슬로건을 인용한, '대한민국을 다시 위대하게'라고 적힌 붉은 모자를 쓰고 지지자들과 악수와 포옹을 반복하기도 했습니다. 퇴근시간 한남대교 통제로 시민들의 불편이 이어졌지만, 윤 전 대통령은 아랑곳하지 않았습니다. 8년 전 인적 드문 일요일 밤을 이용해 관저를 나와 삼성동 자택으로 조용히 이동한 박근혜 전 대통령과 대비됩니다. 서초동 자택에 도착해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금의환향한 것처럼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눴고, 꽃다발과 포옹 세례를 만끽하는 모습에 반성과 사과는 없었습니다. [윤석열/전 대통령 (어제)] "다 이기고 돌아온 거니까 걱정 마세요. 뭐 어차피 5년 하나, 3년 하나.."12.3 계엄 이후 처음 모습을 드러낸 김건희 여사도 자신을 둘러싼 각종 의혹에 고개 숙이는 모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김건희/여사 (어제)] "몇 살? 6살이야?" 윤 전 대통령은 관저를 떠나며 "대한민국 국민의 한사람으로 돌아가 나라와 국민을 위한 새로운 길을 찾겠다"고 했습니다. 파면된 대통령이 대통령 관저를 무단 점거하고 여권 인사들을 만나며 영향력을 과시하더니, 자택으로 돌아가서도 '막후 정치'를 이어갈 뜻을 거듭 밝힌 셈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상 임기를 마치고 떠나는 양 개선장군 행세를 한 '퇴거 쇼'"라며, "국민을 우롱하는 내란 수괴의 파렴치한 모습과 마지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 24시간 거래대금 규모/그래픽=김지영 은행들이 자금조달 창구로 급부상한 가상자산 거래소를 두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 제휴 기회를 노리는 은행권은 현행 '1은행-1거래소' 규제 해소가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당분간 체제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12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요구불예금은 156조2034억원으로 1월 150조8885억원보다 5조3149억원이 늘었다.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해 예·적금 수신금리를 내리는 분위기 속에서도 안정적인 자금조달이 이뤄진 것이다. KB국민은행 내부에선 1월 빗썸과의 제휴를 앞두고 계좌이동이 생기면서 이례적인 저원가성 예금수요가 몰렸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다른 은행들은 현행 '1은행-1거래소' 체제로 인해 규모가 작은 거래소와 제휴를 맺을 수밖에 없다. 이에 정진완 우리은행장도 전날 국민의힘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들을 만나 "현재 1은행-1거래소 체제는 1600만 가상자산 거래고객의 선택권을 제한한다"며 "은행과 거래소 제휴가 다양해질 수 있도록 확대해달라"고 요청했다.특히 은행권에선 5대 원화 가상자산 거래소 가운데 업비트나 빗썸과의 제휴가 아니면 안정적인 자금 조달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가상자산 플랫폼 코인게코의 이날 기준 업비트의 24시간 거래대금은 3조7600억원, 빗썸은 1조7200억원 수준인 반면 3위 거래소인 코인원은 1720억원 수준에 그친다. 은행들은 케이뱅크와 업비트가 오는 10월 제휴 기간이 끝나면 다양한 은행과의 제휴가 이뤄지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업비트는 빗썸보다 평소 거래액이 2~3배에 달할 뿐만 아니라 하루 최대 거래규모가 14조원을 넘어선 적도 있다. 은행들이 가상자산 거래소 제휴에 예민한 것은 국내 가상자산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어서다. 지난해 11월11일엔 5대 가상자산 거래소의 거래대금(19조7300억원)이 코스피와 코스닥을 합한 거래대금(17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