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상호 관세 제외→한달 뒤 품목 관세 부과 '혼란'무관세 기대했던 모바일업계, 관세 유예·가격 인상·생산지 이동 '고민'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미 워싱턴DC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 로이터/연합뉴스[데일리안 = 조인영 기자] 국내 모바일업계가 들쑥날쑥한 미 정부의 관세 정책에 흔들리고 있다. 스마트폰 품목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한 뒤 불과 하루 만에 품목관세에 포함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스마트폰 선행 생산, 가격 인상, 공급지 이전 등 다양한 선택지를 놓고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1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현지시간)부터 13일까지 나흘간 글로벌 전역을 휩쓴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은 크게 '대중국 상호관세 145%로 상향→반도체·스마트폰 상호관세 제외→한 달 뒤 반도체·스마트폰 품목관세 부과 예정' 등이다.미 관세국경보호국(CBP)이 11일 홈페이지를 통해 스마트폰 및 통신장비 등 20개 품목을 상호관세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할 당시만 하더라도 가전 등 가격 폭탄을 맞게 된 소비자들의 성난 민심을 달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됐다.삼성은 전체의 스마트폰 절반을 베트남에서, 30%는 인도에서, 나머지 20%는 한국,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에서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관세는 베트남 46%, 인도 26%, 한국 25%, 브라질 10%, 인도네시아 32%다.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던 상황에서 스마트폰이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자, 업계는 대미 무관세 수출길이 열리게 돼 불확실성에서 벗어나게 될 것으로 안도했다.그러나 불과 이틀 뒤인 13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스마트폰과 컴퓨터, 일부 다른 전자제품은 한 달 내에 부과 예정인 반도체 관세를 따르게 될 것"이라고 발언해 다시 안갯 속을 걷게 됐다. 그의 발언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은 상호관세에서는 제외하지만 품목관세에는 포함시키겠다는 계획이다. 러트닉 장관은 "품목별 관세는 협상 대상이 아니다"고 말해 불확실성스마트폰, 상호 관세 제외→한달 뒤 품목 관세 부과 '혼란'무관세 기대했던 모바일업계, 관세 유예·가격 인상·생산지 이동 '고민'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미 워싱턴DC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 로이터/연합뉴스[데일리안 = 조인영 기자] 국내 모바일업계가 들쑥날쑥한 미 정부의 관세 정책에 흔들리고 있다. 스마트폰 품목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한 뒤 불과 하루 만에 품목관세에 포함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스마트폰 선행 생산, 가격 인상, 공급지 이전 등 다양한 선택지를 놓고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1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현지시간)부터 13일까지 나흘간 글로벌 전역을 휩쓴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은 크게 '대중국 상호관세 145%로 상향→반도체·스마트폰 상호관세 제외→한 달 뒤 반도체·스마트폰 품목관세 부과 예정' 등이다.미 관세국경보호국(CBP)이 11일 홈페이지를 통해 스마트폰 및 통신장비 등 20개 품목을 상호관세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할 당시만 하더라도 가전 등 가격 폭탄을 맞게 된 소비자들의 성난 민심을 달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됐다.삼성은 전체의 스마트폰 절반을 베트남에서, 30%는 인도에서, 나머지 20%는 한국,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에서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관세는 베트남 46%, 인도 26%, 한국 25%, 브라질 10%, 인도네시아 32%다.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던 상황에서 스마트폰이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자, 업계는 대미 무관세 수출길이 열리게 돼 불확실성에서 벗어나게 될 것으로 안도했다.그러나 불과 이틀 뒤인 13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스마트폰과 컴퓨터, 일부 다른 전자제품은 한 달 내에 부과 예정인 반도체 관세를 따르게 될 것"이라고 발언해 다시 안갯 속을 걷게 됐다. 그의 발언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은 상호관세에서는 제외하지만 품목관세에는 포함시키겠다는 계획이다. 러트닉 장관은 "품목별 관세는 협상 대상이 아니다"고 말해 불확실성을 증폭시켰다